​이번에 살펴볼 소식은?
⇒ 2026 최저임금 시급 노사협의

안녕하세요
요즘 알바앱 급구입니다🤗

최근 2026최저임금 시급 결정을 위해
노사가 팽배하게 토의를 진행하고 있는데요,
벌써 4차 수정안까지 나온 상황이라고 합니다.

최저임금 협의가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
협의 예상시기와 협상 구간별 월급을 포함해서
깔끔하게 정리해 드릴게요!


2026최저임금 협의 현황 요약
최조제시안~제4차 수정안 (2025년 최저임금대비 인상률 표기 병행)

2025년 7월 1일,
최저임금 협의를 진행하는 근로자/사용자 양측은
각각 다음과 같은 금액으로 4차 수정안을 제출했습니다

👩‍💼
근로자 :
시급 1만 1260원(12.3% 인상)
​※2025년 최저임금대비 인상률
👨‍🍳
사용자 :
시급 1만 110원(0.8% 인상)
​※2025년 최저임금대비 인상률

다음 협의 회의는 7.3(목)에 진행될 예정인데요,
매년 최저임금위원회에서 양측의 간극을 좁히기 위해 협의 회의가 열리고
7월 또는 8월 중으로 최종 최저임금이 결정됩니다.

본 회의에서 결정된 최저임금(보통 7월 중순까지 의결 진행)은 고시 후 2026년 1월 1일부터 바로 적용돼요.

고시 마감기한은 2025년 8월 5일이기 때문에
당일 혹은 기준일 이전에 최저임금이 고시돼요.

협상 구간별 월급 비교(209시간 기준)

4차 수정안을 토대로 양측 간극 구간별 월급과 일급을 비교해 볼까요?

(일급 : 8시간)
(월급 : 주 5일 근무 / 주휴수당 포함 월 209시간)

시급별 월급 비교표

사용자 제안 기준(4차) 일급은 약 8만 원, 월급은 약 2백1십만 원
근로자 제안 기준(4차) 일급은 약 9만 원, 월급은 약 2백3십만 원

으로 계산되네요!

최저임금 인상, 나에게는 어떤 영향이 있을까?

자영업자라면?

인건비 외에도 주휴수당, 4대 보험 등 기존 비용이 함께 증가해요
시급이 오르면 같이 오르는 비용들이에요.

✔주휴수당

= 1일 소정근로시간 x 시급

✔4대 보험료

= 근로자의 월 소득 기준으로 계산

✔퇴직금

= 1일 평균임금 x 30일로 계산

근로자라면?

시급이 오르면 시간 단위 소득이 늘어나 실질적인 수입 증가로 이어져요.
하지만 사업주의 인건비 부담이 커지면서
근무시간이 줄거나 고용 자체가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함께 존재해요.

예상 협의 시기

협의를 위한 회의는 대개 8~9차까지 이어졌고,
현재 8차 회의까지 이루어진 점을 미루어보아
최저임금 결정이 정말 얼마 남지 않았다는 걸 알 수 있는데요!

최저임금 전원회의 차수 및 임금 협상안 보도자료 제출일

​임금 협의일은 7월 중순
최종 임금이 실제로 고지되는 일자는 8월 초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지난 4개년 협의일을 참고해서 일자를 가늠해 볼 수 있겠죠?

2026년 최저 임금 논의는 아직 진행 중이지만,
어떻게 결정이 되더라도 우리 일상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치게 될 거예요.
지금부터 미리 체크하고 관심을 기울여 보면 어떨까요?


원하는 날짜, 원하는 시간에만 알바 구하기!
요즘 알바앱 급구에서 단기알바를 구해보세요🤗

🙋‍♀️알바생이신가요?

급구에서 당일지급 보장 알바를 찾아보세요!
수당이 자동 적용된 임금을 당일 바로 받아볼 수 있어요!

🙋‍♂️사장님이신가요?

급구에서 채용부터 인건비 지급까지 앱 하나로 해결하세요!
임금부터 수당까지 자동 계산되는
일별/월별/근무회원별 급여대장을 다운 받고
필요치 않을 땐 채용을 스킵하며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요

(※본 포스팅은 네이버 블로그 '급구 - 하루만 알바가 필요할 때'에서 먼저 작성되었습니다)